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파산폐지 결정 시 회수불능 채권과 주식의 손금산입 요건

사전-2023-법규법인-0873  ·  2024. 03. 20.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하지 못한 채권 또는 주식은 언제 어떤 요건으로 손금 등으로 산입할 수 있는지?

S요약

내국법인이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 또는 주식을 보유한 경우, 해당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하면 대손금 또는 주식평가차손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파산폐지결정 #대손금 #주식평가차손 #법인세법 #회수불능채권 #손비계상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3-법규법인-0873  ·  2024. 03. 20.

  • 국세청 사전-2023-법규법인-0873(2024.03.20) 회신이 출처입니다.
  •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이 내려진 경우 그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해야 대손금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 관련 채권 또는 주식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손비로 처리한 금액만 손금으로 인정됩니다.
  • 채무자의 파산 등의 사유와 그에 따른 객관적 회수불능이 확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대손 관련 규정(법인세법 제19조의2, 같은 시행령)의 요건 충족 시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 주식의 경우 발행법인에 파산폐지결정이 있으면 그 해 시가로 평가해 평가차손을 계상하고 이를 손비로 산입할 수 있음이 명확히 회신되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제19조의2(대손금의 손금불산입): 채무자의 파산 등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에 대해 소득금액 계산 시 손금산입 허용
  •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의2: 파산 등 사유 발생 사업연도에 손비로 계상된 경우 대손금 손금산입 인정
  •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 법원의 파산폐지결정 공고가 있으면 대손금 처리 가능
  • 법인세법 제40조: 손익의 귀속사업연도는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함
  • 법인세법 제42조 및 시행령 제78조: 발행법인 파산 등으로 주식 장부가액 감액 가능, 감액된 금액을 손비로 처리할 수 있음
사례 Q&A
1.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이 내려진 경우 채권 대손금 산입이 가능한가요?
답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하면 대손금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제19조의2, 시행령 제19조의2 및 국세청 회신에 근거하여 파산폐지 결정이 확정된 사업연도에 한해 손금산입이 인정됩니다.
2. 파산폐지 결정 받은 법인 주식은 언제 손실로 처리할 수 있나요?
답변
해당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주식을 시가로 평가해 평가차손을 손비로 계상할 수 있습니다.
근거
법인세법 제42조와 시행령 제78조에 따라 발행법인 파산 폐지 결정 시 시가평가에 의한 평가차손을 손금으로 인정합니다.
3. 파산폐지 결정 시 채권 대손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파산폐지 결정의 공고로 회수불능 사실이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확정되어야 대손금 손실처리가 가능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에서 법원의 파산폐지결정과 그 공고일을 기준으로 대손금 손금산입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 상 손비로 계상하여 대손금으로 손금산입 가능함

답변내용

(질의1) 내국법인이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른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 상 손비로 계상하여 대손금으로 손금산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질의2) 내국법인이 보유한 주식발행법인이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른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을 받은 경우 해당 주식의 가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질의법인은 갑법인에 대한 받을어음 및 외상매출금이 법원의 회생계획인가결정으로 회생채권출자전환주식으로 결정됨

 ○ 이후, 회생절차 폐지결정이 공고되어 갑법인에 대한 파산절차가 진행되었으며

  - 2023년 서울회생법원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라 파산폐지(이시폐지) 결정을 하였음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

① 법원은 파산선고 후에 파산재단으로써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관재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파산폐지결정을 하여야 한다

2. 질의내용

 ○ ⁠(질의1) 채무자에 대한 파산폐지 결정·공고 시점에 쟁점채권의 금액을 대손금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한 지 여부

 ○ ⁠(질의2) 주식발행법인에 대한 파산폐지 결정·공고 시점에 쟁점주식의 금액을 손금산입 가능한 지 여부

3. 관련법령

 ○ 법인세법 제19조의2 【대손금의 손금불산입】

 ① 내국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중 채무자의 파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이하 "대손금"(貸損金)이라 한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한다.

 ○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의2 【대손금의 손금불산입】

 ① 법 제19조의2제1항에서 "채무자의 파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8. 채무자의 파산, 강제집행, 형의 집행, 사업의 폐지, 사망, 실종 또는 행방불명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

 ③ 법 제19조의2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연도"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말한다.

  1. 제1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 제5호의2 및 제6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가 발생한 날

  2. 제1호 외의 경우에는 해당 사유가 발생하여 손비로 계상한 날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 【파산의 범위 및 대손금 처리】

 ① 영 제62조 제1항 제8호의 규정에서 "채무자의 파산"이라 함은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원이 파산폐지결정하거나 파산종결 결정하여 공고한 경우를 말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파산폐지 또는 파산종결 공고일 이전에 파산절차 진행과정에서 관계서류 등에 의해 해당 채권자가 배당받을 금액이 채권금액에 미달하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은 제1항에 불구하고 영 제62조 제1항 제8호에 따른 회수할 수 없는 채권으로 보아 대손금으로 손금에 산입할 수 있다.

 ○ 법인세법 제40조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①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의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71조 【임대료 등 기타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⑦ 법 제40조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할 때 법(제43조를 제외한다)ㆍ「조세특례제한법」 및 이 영에서 규정한 것외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에 관하여는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36조 【기타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영 제71조제7항을 적용할 때 이 규칙에서 별도로 규정한 것외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법인세법 제22조 【자산의 평가손실의 손금불산입】

 내국법인이 보유하는 자산의 평가손실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다만, 제42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른 평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평가손실은 손금에 산입한다.

법인세법 제42조 【자산ㆍ부채의 평가】

 ① 내국법인이 보유하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가액을 증액 또는 감액(감가상각은 제외하며, 이하 이 조에서 "평가"라 한다)한 경우에는 그 평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와 그 후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그 자산과 부채의 장부가액은 평가 전의 가액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보험업법」이나 그 밖의 법률에 따른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등의 평가(장부가액을 증액한 경우만 해당한다)

  2. 재고자산(在庫資産)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산과 부채의 평가

 ② 제1항제2호에 따른 자산과 부채는 그 자산 및 부채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야 한다.

 ③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산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그 장부가액을 감액할 수 있다.

  1. 재고자산으로서 파손ㆍ부패 등의 사유로 정상가격으로 판매할 수 없는 것

  2. 유형자산으로서 천재지변ㆍ화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파손되거나 멸실된 것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식등으로서 해당 주식등의 발행법인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부도가 발생한 경우

   나.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계획인가의 결정을 받은 경우

   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른 부실징후기업이 된 경우

   라. 파산한 경우

  4. 삭제

법인세법 시행령 제78조 【재고자산 등의 평가차손】

 ② 법 제42조제3항제3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식등"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주식등을 말한다.

  1. 법 제42조제3항제3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경우: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식등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권상장법인(이하 "주권상장법인"이라 한다)이 발행한 주식등

   나.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벤처투자회사 또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른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보유하는 주식등 중 각각 창업자 또는 신기술사업자가 발행한 것

   다. 주권상장법인이 아닌 법인 중 제2조제8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관계에 있지 않은 법인이 발행한 주식등

  2. 법 제42조제3항제3호라목의 경우: 주식등

  3. 삭제

 ③ 법 제42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이란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자산의 장부가액을 해당 감액사유가 발생한 사업연도(법 제42조제3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파손 또는 멸실이 확정된 사업연도를 포함한다)에 다음 각 호에 따른 평가액으로 감액하고, 그 감액한 금액을 해당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1. 법 제42조제3항제1호의 재고자산의 경우에는 당해 재고자산을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처분가능한 시가로 평가한 가액

  2. 법 제42조제3항제2호의 유형자산의 경우에는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시가로 평가한 가액

  3. 법 제42조제3항제3호의 주식등의 경우에는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시가(주식등의 발행법인별로 보유주식총액을 시가로 평가한 가액이 1천원 이하인 경우에는 1천원으로 한다)로 평가한 가액

  4. 삭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94조 【파산신청권자】

 ① 채권자 또는 채무자는 파산신청을 할 수 있다.

 ② 채권자가 파산신청을 하는 때에는 그 채권의 존재 및 파산의 원인인 사실을 소명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06조 【법인의 파산원인】

 ① 법인에 대하여는 그 부채의 총액이 자산의 총액을 초과하는 때에도 파산선고를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규정은 합명회사 및 합자회사의 존립 중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0조 【파산선고】

 파산결정서에는 파산선고의 연·월·일·시를 기재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1조 【파산의 효력발생시기】

 파산은 선고를 한 때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2조【파산선고와 동시에 정하여야 하는 사항】

 ① 법원은 파산선고와 동시에 파산관재인을 선임하고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1. 채권신고의 기간. 이 경우 그 기간은 파산선고를 한 날부터 2주 이상 3월 이하이어야 한다.

  2. 제1회 채권자집회의 기일. 이 경우 그 기일은 파산선고를 한 날부터 4월 이내이어야 한다

  3. 채권조사의 기일. 이 경우 그 기일과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채권신고기간의 말일과의 사이에는 1주 이상 1월 이하의 기간이 있어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7조 【파산선고와 동시에 하는 파산폐지】

 ① 법원은 파산재단으로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선고와 동시에 파산폐지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경우 법원은 파산결정의 주문과 파산폐지결정의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82조 【파산재단】

  ① 채무자가 파산선고 당시에 가진 모든 재산은 파산재단에 속한다.

  ② 채무자가 파산선고 전에 생긴 원인으로 장래에 행사할 청구권은 파산재단에 속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05조 【배당시기】

 제312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채권조사기일이 종료된 후에는 파산관재인은 배당하기에 적당한 금전이 있을 때마다 지체 없이 배당을 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06조 【배당에 필요한 허가】

 파산관재인이 배당을 하는 때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감사위원이 있는 때는 감사위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22조 【최후배당액의 결정 및 통지】

 최후배당에서 파산관재인은 배당표에 대한 이의가 종결된 후 지체 없이 각 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을 정하여 그 통지를 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30조 【파산종결의 결정 및 공고】

 채권자집회가 종결된 때에는 법원은 파산종결의 결정을 하고 그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38조 【동의에 의한 파산폐지의 신청】

 ① 법원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채무자의 신청에 의하여 파산폐지의 결정을 할 수 있다.

  1. 채무자가 제447조의 규정에 의한 채권신고기간 안에 신고한 파산채권자 전원의 동의를 얻은 때

  2. 채무자가 제1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에는 동의를 하지 아니한 파산채권자에 대하여 다른 파산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파산재단으로부터 담보를 제공한 때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 【비용부족으로 인한 파산폐지】

 ① 법원은 파산선고 후에 파산재단으로써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관재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파산폐지결정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법원은 채권자집회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② 제1항의 규정은 파산절차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금액이 미리 납부되어 있는 때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6조 【파산폐지결정의 공고】

 법원은 파산폐지결정을 한 때에는 그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3. 20. 사전-2023-법규법인-0873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파산폐지 결정 시 회수불능 채권과 주식의 손금산입 요건

사전-2023-법규법인-0873  ·  2024. 03. 20.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하지 못한 채권 또는 주식은 언제 어떤 요건으로 손금 등으로 산입할 수 있는지?

S요약

내국법인이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 또는 주식을 보유한 경우, 해당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하면 대손금 또는 주식평가차손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파산폐지결정 #대손금 #주식평가차손 #법인세법 #회수불능채권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3-법규법인-0873  ·  2024. 03. 20.

  • 국세청 사전-2023-법규법인-0873(2024.03.20) 회신이 출처입니다.
  •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이 내려진 경우 그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해야 대손금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 관련 채권 또는 주식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손비로 처리한 금액만 손금으로 인정됩니다.
  • 채무자의 파산 등의 사유와 그에 따른 객관적 회수불능이 확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대손 관련 규정(법인세법 제19조의2, 같은 시행령)의 요건 충족 시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 주식의 경우 발행법인에 파산폐지결정이 있으면 그 해 시가로 평가해 평가차손을 계상하고 이를 손비로 산입할 수 있음이 명확히 회신되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제19조의2(대손금의 손금불산입): 채무자의 파산 등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에 대해 소득금액 계산 시 손금산입 허용
  •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의2: 파산 등 사유 발생 사업연도에 손비로 계상된 경우 대손금 손금산입 인정
  •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 법원의 파산폐지결정 공고가 있으면 대손금 처리 가능
  • 법인세법 제40조: 손익의 귀속사업연도는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함
  • 법인세법 제42조 및 시행령 제78조: 발행법인 파산 등으로 주식 장부가액 감액 가능, 감액된 금액을 손비로 처리할 수 있음
사례 Q&A
1.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이 내려진 경우 채권 대손금 산입이 가능한가요?
답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상 손비로 계상하면 대손금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제19조의2, 시행령 제19조의2 및 국세청 회신에 근거하여 파산폐지 결정이 확정된 사업연도에 한해 손금산입이 인정됩니다.
2. 파산폐지 결정 받은 법인 주식은 언제 손실로 처리할 수 있나요?
답변
해당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주식을 시가로 평가해 평가차손을 손비로 계상할 수 있습니다.
근거
법인세법 제42조와 시행령 제78조에 따라 발행법인 파산 폐지 결정 시 시가평가에 의한 평가차손을 손금으로 인정합니다.
3. 파산폐지 결정 시 채권 대손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파산폐지 결정의 공고로 회수불능 사실이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확정되어야 대손금 손실처리가 가능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에서 법원의 파산폐지결정과 그 공고일을 기준으로 대손금 손금산입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 상 손비로 계상하여 대손금으로 손금산입 가능함

답변내용

(질의1) 내국법인이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른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에 결산서 상 손비로 계상하여 대손금으로 손금산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질의2) 내국법인이 보유한 주식발행법인이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른 법원의 파산폐지 결정을 받은 경우 해당 주식의 가액은 파산폐지 결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질의법인은 갑법인에 대한 받을어음 및 외상매출금이 법원의 회생계획인가결정으로 회생채권출자전환주식으로 결정됨

 ○ 이후, 회생절차 폐지결정이 공고되어 갑법인에 대한 파산절차가 진행되었으며

  - 2023년 서울회생법원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에 따라 파산폐지(이시폐지) 결정을 하였음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

① 법원은 파산선고 후에 파산재단으로써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관재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파산폐지결정을 하여야 한다

2. 질의내용

 ○ ⁠(질의1) 채무자에 대한 파산폐지 결정·공고 시점에 쟁점채권의 금액을 대손금으로 손금산입이 가능한 지 여부

 ○ ⁠(질의2) 주식발행법인에 대한 파산폐지 결정·공고 시점에 쟁점주식의 금액을 손금산입 가능한 지 여부

3. 관련법령

 ○ 법인세법 제19조의2 【대손금의 손금불산입】

 ① 내국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중 채무자의 파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의 금액[이하 "대손금"(貸損金)이라 한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한다.

 ○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의2 【대손금의 손금불산입】

 ① 법 제19조의2제1항에서 "채무자의 파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8. 채무자의 파산, 강제집행, 형의 집행, 사업의 폐지, 사망, 실종 또는 행방불명으로 회수할 수 없는 채권

 ③ 법 제19조의2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연도"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말한다.

  1. 제1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 제5호의2 및 제6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가 발생한 날

  2. 제1호 외의 경우에는 해당 사유가 발생하여 손비로 계상한 날

법인세법 기본통칙 19의2-19의2…1 【파산의 범위 및 대손금 처리】

 ① 영 제62조 제1항 제8호의 규정에서 "채무자의 파산"이라 함은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원이 파산폐지결정하거나 파산종결 결정하여 공고한 경우를 말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파산폐지 또는 파산종결 공고일 이전에 파산절차 진행과정에서 관계서류 등에 의해 해당 채권자가 배당받을 금액이 채권금액에 미달하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은 제1항에 불구하고 영 제62조 제1항 제8호에 따른 회수할 수 없는 채권으로 보아 대손금으로 손금에 산입할 수 있다.

 ○ 법인세법 제40조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①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의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71조 【임대료 등 기타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⑦ 법 제40조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할 때 법(제43조를 제외한다)ㆍ「조세특례제한법」 및 이 영에서 규정한 것외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에 관하여는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36조 【기타 손익의 귀속사업연도】

  영 제71조제7항을 적용할 때 이 규칙에서 별도로 규정한 것외의 익금과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그 익금과 손금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법인세법 제22조 【자산의 평가손실의 손금불산입】

 내국법인이 보유하는 자산의 평가손실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다만, 제42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른 평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평가손실은 손금에 산입한다.

법인세법 제42조 【자산ㆍ부채의 평가】

 ① 내국법인이 보유하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가액을 증액 또는 감액(감가상각은 제외하며, 이하 이 조에서 "평가"라 한다)한 경우에는 그 평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와 그 후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그 자산과 부채의 장부가액은 평가 전의 가액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보험업법」이나 그 밖의 법률에 따른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등의 평가(장부가액을 증액한 경우만 해당한다)

  2. 재고자산(在庫資産)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산과 부채의 평가

 ② 제1항제2호에 따른 자산과 부채는 그 자산 및 부채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야 한다.

 ③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산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그 장부가액을 감액할 수 있다.

  1. 재고자산으로서 파손ㆍ부패 등의 사유로 정상가격으로 판매할 수 없는 것

  2. 유형자산으로서 천재지변ㆍ화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파손되거나 멸실된 것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식등으로서 해당 주식등의 발행법인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부도가 발생한 경우

   나.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계획인가의 결정을 받은 경우

   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른 부실징후기업이 된 경우

   라. 파산한 경우

  4. 삭제

법인세법 시행령 제78조 【재고자산 등의 평가차손】

 ② 법 제42조제3항제3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식등"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주식등을 말한다.

  1. 법 제42조제3항제3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경우: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식등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권상장법인(이하 "주권상장법인"이라 한다)이 발행한 주식등

   나.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벤처투자회사 또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른 신기술사업금융업자가 보유하는 주식등 중 각각 창업자 또는 신기술사업자가 발행한 것

   다. 주권상장법인이 아닌 법인 중 제2조제8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관계에 있지 않은 법인이 발행한 주식등

  2. 법 제42조제3항제3호라목의 경우: 주식등

  3. 삭제

 ③ 법 제42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이란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자산의 장부가액을 해당 감액사유가 발생한 사업연도(법 제42조제3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파손 또는 멸실이 확정된 사업연도를 포함한다)에 다음 각 호에 따른 평가액으로 감액하고, 그 감액한 금액을 해당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1. 법 제42조제3항제1호의 재고자산의 경우에는 당해 재고자산을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처분가능한 시가로 평가한 가액

  2. 법 제42조제3항제2호의 유형자산의 경우에는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시가로 평가한 가액

  3. 법 제42조제3항제3호의 주식등의 경우에는 사업연도종료일 현재 시가(주식등의 발행법인별로 보유주식총액을 시가로 평가한 가액이 1천원 이하인 경우에는 1천원으로 한다)로 평가한 가액

  4. 삭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94조 【파산신청권자】

 ① 채권자 또는 채무자는 파산신청을 할 수 있다.

 ② 채권자가 파산신청을 하는 때에는 그 채권의 존재 및 파산의 원인인 사실을 소명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06조 【법인의 파산원인】

 ① 법인에 대하여는 그 부채의 총액이 자산의 총액을 초과하는 때에도 파산선고를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규정은 합명회사 및 합자회사의 존립 중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0조 【파산선고】

 파산결정서에는 파산선고의 연·월·일·시를 기재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1조 【파산의 효력발생시기】

 파산은 선고를 한 때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2조【파산선고와 동시에 정하여야 하는 사항】

 ① 법원은 파산선고와 동시에 파산관재인을 선임하고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정하여야 한다.

  1. 채권신고의 기간. 이 경우 그 기간은 파산선고를 한 날부터 2주 이상 3월 이하이어야 한다.

  2. 제1회 채권자집회의 기일. 이 경우 그 기일은 파산선고를 한 날부터 4월 이내이어야 한다

  3. 채권조사의 기일. 이 경우 그 기일과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채권신고기간의 말일과의 사이에는 1주 이상 1월 이하의 기간이 있어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17조 【파산선고와 동시에 하는 파산폐지】

 ① 법원은 파산재단으로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선고와 동시에 파산폐지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경우 법원은 파산결정의 주문과 파산폐지결정의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82조 【파산재단】

  ① 채무자가 파산선고 당시에 가진 모든 재산은 파산재단에 속한다.

  ② 채무자가 파산선고 전에 생긴 원인으로 장래에 행사할 청구권은 파산재단에 속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05조 【배당시기】

 제312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채권조사기일이 종료된 후에는 파산관재인은 배당하기에 적당한 금전이 있을 때마다 지체 없이 배당을 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06조 【배당에 필요한 허가】

 파산관재인이 배당을 하는 때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감사위원이 있는 때는 감사위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22조 【최후배당액의 결정 및 통지】

 최후배당에서 파산관재인은 배당표에 대한 이의가 종결된 후 지체 없이 각 채권자에 대한 배당액을 정하여 그 통지를 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30조 【파산종결의 결정 및 공고】

 채권자집회가 종결된 때에는 법원은 파산종결의 결정을 하고 그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38조 【동의에 의한 파산폐지의 신청】

 ① 법원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채무자의 신청에 의하여 파산폐지의 결정을 할 수 있다.

  1. 채무자가 제447조의 규정에 의한 채권신고기간 안에 신고한 파산채권자 전원의 동의를 얻은 때

  2. 채무자가 제1호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경우에는 동의를 하지 아니한 파산채권자에 대하여 다른 파산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파산재단으로부터 담보를 제공한 때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5조 【비용부족으로 인한 파산폐지】

 ① 법원은 파산선고 후에 파산재단으로써 파산절차의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파산관재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파산폐지결정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법원은 채권자집회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② 제1항의 규정은 파산절차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금액이 미리 납부되어 있는 때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46조 【파산폐지결정의 공고】

 법원은 파산폐지결정을 한 때에는 그 주문 및 이유의 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3. 20. 사전-2023-법규법인-0873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