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토지·건물 일괄양도 시 부가가치세 산정 기준은?

광주고등법원(제주) 2024누1483
판결 요약
토지와 건물을 한 번에 매매할 때는 총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하여 각각의 양도가액을 계산하는 것이 적법합니다.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거래가액에서 다시 부가가치세를 안분 계산하는 주장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령상 근거가 없어 원고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토지 건물 일괄양도 #부가가치세 계산 #실지거래가액 안분 #기준시가 #구분거래가액
질의 응답
1. 토지와 건물을 함께 양도할 때 부가가치세 계산 방법은 무엇인가요?
답변
총 실지거래가액을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하여 각 양도가액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부가가치세를 계산하여야 합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해 양도가액을 산정하는 것이 적법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거래가액을 먼저 정한 뒤 각 부동산별로 다시 세액을 안분해야 하나요?
답변
이렇게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거래가액에서 부가가치세를 각 부동산별로 다시 나누는 방법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부가가치세 포함 구분거래가액 산정 방식에는 법령상 근거가 없고, 인정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매매계약에서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정해진 경우 어떻게 적용되나요?
답변
매매계약에 건물의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부가가치세액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매매계약상 건물 부가가치세액이 명확하면, 그에 따라야 하며, 달리 볼 수 없다고 설시하였습니다.
4. 받은 금액에 부가가치세 포함 여부가 불분명하면 110분의 100 산정 방식 적용되나요?
답변
해당 매매계약에서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규정되면 110분의 100 산정 방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매매계약에 부가가치세가 분명히 정해진 경우 산정특례는 적용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1심 판결 인용) 피고가 관련 법령에 따라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인 000억 원을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로 안분하여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각 양도가액을 산정한 것은 적법하고, 이와 달리 총 000억 100만 원의 범위 내에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이 사건 각 부동산의 구분거래가액을 산정한 뒤 부가가치세를 산출하여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아무런 법령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문서번호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결정유형

국승

세목

부가

생산일자

2024.12.04.

귀속연도

2020

제목

토지·건물 일괄 양도한 경우 부가가치세 계산의 적부

요지

(1심 판결 인용) 피고가 관련 법령에 따라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인 000억 원을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로 안분하여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각 양도가액을 산정한 것은 적법하고, 이와 달리 총 000억 100만 원의 범위 내에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이 사건 각 부동산의 구분거래가액을 산정한 뒤 부가가치세를 산출하여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아무런 법령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음.

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관련법령

부가가치세법 제29조【과세표준】

상세내용

사 건

2024누1483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AA 주식회사

피 고

JJ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4. 10. 23.

판 결 선 고

2024. 12. 4.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3. 3. 3. 원고에 대하여 한 2020년 제1기분 부가가치세 746,064,870원의 부과처분 중 25,354,690원 부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사건에 관하여 이 법원이 적을 이유는 제1심판결 5쪽 표의 ⁠‘부가가치세 결정 고지세액’의 ⁠‘가산세’ 항목 중 ⁠‘지연납부’란 금액 기재를 ⁠“1222,833,869”에서 ⁠“122,833,869”로 고쳐 쓰는 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원고는 당심에서도 ① 제1심에서와 같이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매하고 CCC 등으로부터 받은 137억 1백만 원에 이 사건 건물에 관한 정당한 부가가치세액이 전액 포함되어 있음을 전제로 위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이 산정되어야 하고, ② 이와 달리 보더라도 원고는 ⁠‘사업자가 재화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 받은 금액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는지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위 건물에 대한 부가가치세액은 부가가치세법 제29조 제7항에 따라 새로 정해질 건물의 가액에 110분의 100을 곱한 금액을 공급가액으로 하여 산정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이 사건 매매계약이 이 사건 각 부동산의 매매가액을 137억 원(토지: 136억 9천만 원, 건물: 1천만 원)으로 정하면서 이 사건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을 별도로 하는 것으로 분명하게 규정하고 있는 이상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위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고, 원고에게 위 매매가액 137억 원을 초과하여 지급된 1백만 원은 원고와 CCC 등이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할 당시 위 건물에 관하여 그 매매가액에 비추어 일응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 부가가치세액을 미리 지급해 준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결론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광주고등법원 2024. 12. 04. 선고 광주고등법원(제주) 2024누1483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토지·건물 일괄양도 시 부가가치세 산정 기준은?

광주고등법원(제주) 2024누1483
판결 요약
토지와 건물을 한 번에 매매할 때는 총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하여 각각의 양도가액을 계산하는 것이 적법합니다.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거래가액에서 다시 부가가치세를 안분 계산하는 주장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령상 근거가 없어 원고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토지 건물 일괄양도 #부가가치세 계산 #실지거래가액 안분 #기준시가 #구분거래가액
질의 응답
1. 토지와 건물을 함께 양도할 때 부가가치세 계산 방법은 무엇인가요?
답변
총 실지거래가액을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하여 각 양도가액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부가가치세를 계산하여야 합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시가에 따라 안분해 양도가액을 산정하는 것이 적법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거래가액을 먼저 정한 뒤 각 부동산별로 다시 세액을 안분해야 하나요?
답변
이렇게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거래가액에서 부가가치세를 각 부동산별로 다시 나누는 방법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부가가치세 포함 구분거래가액 산정 방식에는 법령상 근거가 없고, 인정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매매계약에서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정해진 경우 어떻게 적용되나요?
답변
매매계약에 건물의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부가가치세액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매매계약상 건물 부가가치세액이 명확하면, 그에 따라야 하며, 달리 볼 수 없다고 설시하였습니다.
4. 받은 금액에 부가가치세 포함 여부가 불분명하면 110분의 100 산정 방식 적용되나요?
답변
해당 매매계약에서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규정되면 110분의 100 산정 방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판결은 매매계약에 부가가치세가 분명히 정해진 경우 산정특례는 적용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1심 판결 인용) 피고가 관련 법령에 따라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인 000억 원을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로 안분하여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각 양도가액을 산정한 것은 적법하고, 이와 달리 총 000억 100만 원의 범위 내에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이 사건 각 부동산의 구분거래가액을 산정한 뒤 부가가치세를 산출하여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아무런 법령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문서번호

광주고등법원(제주)-2024-누-1483

결정유형

국승

세목

부가

생산일자

2024.12.04.

귀속연도

2020

제목

토지·건물 일괄 양도한 경우 부가가치세 계산의 적부

요지

(1심 판결 인용) 피고가 관련 법령에 따라 이 사건 각 부동산의 총 실지거래가액인 000억 원을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로 안분하여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의 각 양도가액을 산정한 것은 적법하고, 이와 달리 총 000억 100만 원의 범위 내에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이 사건 각 부동산의 구분거래가액을 산정한 뒤 부가가치세를 산출하여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아무런 법령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음.

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관련법령

부가가치세법 제29조【과세표준】

상세내용

사 건

2024누1483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AA 주식회사

피 고

JJ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4. 10. 23.

판 결 선 고

2024. 12. 4.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3. 3. 3. 원고에 대하여 한 2020년 제1기분 부가가치세 746,064,870원의 부과처분 중 25,354,690원 부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사건에 관하여 이 법원이 적을 이유는 제1심판결 5쪽 표의 ⁠‘부가가치세 결정 고지세액’의 ⁠‘가산세’ 항목 중 ⁠‘지연납부’란 금액 기재를 ⁠“1222,833,869”에서 ⁠“122,833,869”로 고쳐 쓰는 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원고는 당심에서도 ① 제1심에서와 같이 이 사건 각 부동산을 매매하고 CCC 등으로부터 받은 137억 1백만 원에 이 사건 건물에 관한 정당한 부가가치세액이 전액 포함되어 있음을 전제로 위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이 산정되어야 하고, ② 이와 달리 보더라도 원고는 ⁠‘사업자가 재화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 받은 금액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는지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위 건물에 대한 부가가치세액은 부가가치세법 제29조 제7항에 따라 새로 정해질 건물의 가액에 110분의 100을 곱한 금액을 공급가액으로 하여 산정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이 사건 매매계약이 이 사건 각 부동산의 매매가액을 137억 원(토지: 136억 9천만 원, 건물: 1천만 원)으로 정하면서 이 사건 건물에 관한 부가가치세액을 별도로 하는 것으로 분명하게 규정하고 있는 이상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위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고, 원고에게 위 매매가액 137억 원을 초과하여 지급된 1백만 원은 원고와 CCC 등이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할 당시 위 건물에 관하여 그 매매가액에 비추어 일응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 부가가치세액을 미리 지급해 준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결론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광주고등법원 2024. 12. 04. 선고 광주고등법원(제주) 2024누1483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