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특허 권리범위 해석 방법 및 확인대상 발명 특정 기준 판시

2020후11813
판결 요약
특허발명의 청구범위 해석은 문언의 일반적 의미를 기초로 하되,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참작해 객관적·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권리범위확인심판의 대상은 청구인이 특정한 구체적 발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는 해당 발명의 구성이 청구발명과 대비되어 판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특허권 #권리범위확인 #청구범위 해석 #소극적 권리범위 #확인대상 발명
질의 응답
1. 특허 발명의 청구범위 해석은 어떤 기준으로 하나요?
답변
청구범위 문언의 일반적 의미에 기초하되, 발명의 설명 및 도면을 참작하여 객관적·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특허 청구범위 확정에 있어 문언의 일반 의미와 함께 발명의 설명·도면 전체를 참작해 기술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심판의 대상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답변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확인대상 발명이 심판의 대상이며, 실제 실시기술과 달라도 청구에서 명확히 특정된 발명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권리범위확인심판의 대상은 심판청구인이 청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3.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답변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봅니다. 일부 요소라도 결여하면 속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확인대상 발명이 '항문이 접촉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결여하였기 때문에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확인대상 발명의 특정 여부는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나요?
답변
설명서와 도면, 대비표 등 추가자료를 참작하여 해당 발명이 구체적으로 특정될 수 있는지 판단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설명서와 대비표 등 관련 자료를 근거로 확인대상 발명의 구성 파악과 특정이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권리범위확인(특)

 ⁠[대법원 2023. 1. 12. 선고 2020후11813 판결]

【판시사항】

 ⁠[1] 특허발명의 확정을 위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해석하는 방법
 ⁠[2]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심판청구인이 현실적으로 실시하는 기술이 심판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과 다른 경우의 심판 대상

【참조조문】

 ⁠[1] 특허법 제42조 제2항, 제97조
[2] 특허법 제135조, 제14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후3625 판결, 대법원 2018. 4. 10. 선고 2015후1195 판결 / ⁠[2] 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7후2735 판결, 대법원 2019. 9. 9. 선고 2019후10081 판결


【전문】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알파메딕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율촌 담당변호사 최정열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미가 ⁠(소송대리인 변리사 이학수)

【원심판결】

특허법원 2020. 10. 30. 선고 2020허275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제출기간이 지난 상고이유보충서 등은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가. 특허발명의 청구범위는 특허출원인이 특허발명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을 기재한 것이므로 특허발명의 확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야 하고 발명의 설명이나 도면 등 다른 기재로 청구범위를 제한하거나 확장하여 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설명이나 도면 등을 참작하여야 그 기술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그 문언의 일반적인 의미를 기초로 하면서도 발명의 설명 및 도면 등을 참작하여 그 문언에 의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기술적 의의를 고찰한 다음 객관적·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후3625 판결, 대법원 2018. 4. 10. 선고 2015후1195 판결 등 참조). 
나.  권리범위확인심판은 권리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대상물과의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확정하는 것이어서 특허권 권리범위확인심판 청구의 심판대상은 심판청구인이 그 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이다.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심판청구인이 현실적으로 실시하는 기술이 심판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발명이 실시가능성이 없을 경우 그 청구의 적법 여부가 문제로 될 수 있을 뿐이고, 여전히 심판의 대상은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확인대상 발명으로, 이를 기준으로 특허발명과 대비하여 그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7후2735 판결, 대법원 2019. 9. 9. 선고 2019후10081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가.  명칭을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으로 하는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생략) 청구항 제1항(이하 ⁠‘이 사건 제1항 발명’이라 한다)의 ⁠‘디바이스바디(B)에 사용자의 항문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항문에 대응되는 위치 주위를 둘러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저주파펄스인가용 전극패드(P)’라는 부분은 사용자의 항문이 디바이스바디에 위치한 위와 같은 2개 이상의 전극패드에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  확인대상 발명은 확인대상 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에 의하여 특정되므로 그 설명서의 일부로 볼 수 있는 특허발명과 확인대상 발명의 대비표 기재 역시 고려하여 그 특정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확인대상 발명의 설명서 중 일부인 대비표에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돌출부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항문과 접촉하므로’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확인대상 발명은 이 사건 제1항 발명과 대비할 수 있을 정도로 특정되었고, 위와 같이 제1, 2전극이 사용자의 항문과 접촉하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다.  결국 확인대상 발명은 이 사건 제1항 발명의 ⁠‘사용자의 항문이 접촉되지 않는’ 구성을 결여하여 그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이와 결론을 같이 한 이 사건 심결은 적법하다.
 
3.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를 비롯한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특허발명의 청구범위 해석 및 출원경과 금반언, 확인대상 발명의 특정과 파악, 권리범위 속부 판단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3. 01. 12. 선고 2020후11813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특허 권리범위 해석 방법 및 확인대상 발명 특정 기준 판시

2020후11813
판결 요약
특허발명의 청구범위 해석은 문언의 일반적 의미를 기초로 하되,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참작해 객관적·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권리범위확인심판의 대상은 청구인이 특정한 구체적 발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는 해당 발명의 구성이 청구발명과 대비되어 판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특허권 #권리범위확인 #청구범위 해석 #소극적 권리범위 #확인대상 발명
질의 응답
1. 특허 발명의 청구범위 해석은 어떤 기준으로 하나요?
답변
청구범위 문언의 일반적 의미에 기초하되, 발명의 설명 및 도면을 참작하여 객관적·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특허 청구범위 확정에 있어 문언의 일반 의미와 함께 발명의 설명·도면 전체를 참작해 기술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심판의 대상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답변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확인대상 발명이 심판의 대상이며, 실제 실시기술과 달라도 청구에서 명확히 특정된 발명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권리범위확인심판의 대상은 심판청구인이 청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3.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답변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봅니다. 일부 요소라도 결여하면 속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확인대상 발명이 '항문이 접촉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결여하였기 때문에 특허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확인대상 발명의 특정 여부는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나요?
답변
설명서와 도면, 대비표 등 추가자료를 참작하여 해당 발명이 구체적으로 특정될 수 있는지 판단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0후11813 판결은 설명서와 대비표 등 관련 자료를 근거로 확인대상 발명의 구성 파악과 특정이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권리범위확인(특)

 ⁠[대법원 2023. 1. 12. 선고 2020후11813 판결]

【판시사항】

 ⁠[1] 특허발명의 확정을 위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해석하는 방법
 ⁠[2]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심판청구인이 현실적으로 실시하는 기술이 심판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과 다른 경우의 심판 대상

【참조조문】

 ⁠[1] 특허법 제42조 제2항, 제97조
[2] 특허법 제135조, 제14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후3625 판결, 대법원 2018. 4. 10. 선고 2015후1195 판결 / ⁠[2] 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7후2735 판결, 대법원 2019. 9. 9. 선고 2019후10081 판결


【전문】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알파메딕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율촌 담당변호사 최정열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미가 ⁠(소송대리인 변리사 이학수)

【원심판결】

특허법원 2020. 10. 30. 선고 2020허275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제출기간이 지난 상고이유보충서 등은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가. 특허발명의 청구범위는 특허출원인이 특허발명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을 기재한 것이므로 특허발명의 확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야 하고 발명의 설명이나 도면 등 다른 기재로 청구범위를 제한하거나 확장하여 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설명이나 도면 등을 참작하여야 그 기술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그 문언의 일반적인 의미를 기초로 하면서도 발명의 설명 및 도면 등을 참작하여 그 문언에 의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기술적 의의를 고찰한 다음 객관적·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후3625 판결, 대법원 2018. 4. 10. 선고 2015후1195 판결 등 참조). 
나.  권리범위확인심판은 권리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대상물과의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확정하는 것이어서 특허권 권리범위확인심판 청구의 심판대상은 심판청구인이 그 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이다.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심판청구인이 현실적으로 실시하는 기술이 심판청구에서 심판의 대상으로 삼은 구체적인 발명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발명이 실시가능성이 없을 경우 그 청구의 적법 여부가 문제로 될 수 있을 뿐이고, 여전히 심판의 대상은 심판청구인이 특정한 확인대상 발명으로, 이를 기준으로 특허발명과 대비하여 그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7후2735 판결, 대법원 2019. 9. 9. 선고 2019후10081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가.  명칭을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으로 하는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생략) 청구항 제1항(이하 ⁠‘이 사건 제1항 발명’이라 한다)의 ⁠‘디바이스바디(B)에 사용자의 항문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항문에 대응되는 위치 주위를 둘러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저주파펄스인가용 전극패드(P)’라는 부분은 사용자의 항문이 디바이스바디에 위치한 위와 같은 2개 이상의 전극패드에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  확인대상 발명은 확인대상 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에 의하여 특정되므로 그 설명서의 일부로 볼 수 있는 특허발명과 확인대상 발명의 대비표 기재 역시 고려하여 그 특정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확인대상 발명의 설명서 중 일부인 대비표에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돌출부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항문과 접촉하므로’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확인대상 발명은 이 사건 제1항 발명과 대비할 수 있을 정도로 특정되었고, 위와 같이 제1, 2전극이 사용자의 항문과 접촉하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다.  결국 확인대상 발명은 이 사건 제1항 발명의 ⁠‘사용자의 항문이 접촉되지 않는’ 구성을 결여하여 그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이와 결론을 같이 한 이 사건 심결은 적법하다.
 
3.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를 비롯한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특허발명의 청구범위 해석 및 출원경과 금반언, 확인대상 발명의 특정과 파악, 권리범위 속부 판단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3. 01. 12. 선고 2020후11813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