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소유권 이전 가등기의 제척기간 경과 시 말소청구 가능 여부 판단

충주지원 2024가단22392
판결 요약
이 판결은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완결권 행사 제척기간(10년)이 경과하면 무효가 되며, 이에 근거해 채권자는 채권자대위권으로 말소등기청구가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담보가등기 주장에 대해서도 실질 판단과 입증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소유권이전가등기 #제척기간 #10년 #매매예약 #담보가등기
질의 응답
1.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10년 제척기간 경과 후에도 유효한가요?
답변
매매예약의 완결권 행사 제척기간(10년)이 지나면 가등기의 효력도 소멸하여, 이후에는 말소대상이 됩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매매예약 성립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완결권이 소멸하고, 그에 기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도 말소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대법원 2000다26425, 2009다4787 판례 취지 원용).
2.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담보가등기 주장만으로 효력이 남아있을 수 있나요?
답변
담보가등기 주장자는 실질적 담보 목적/대여사실 등을 명확히 입증해야 하며, 단순 주장만으로는 잔존 효력을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담보가등기 여부는 거래 실질 및 입증에 달려 있으며, 본건은 입증 부족으로 담보가등기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대법원 91다36932, 2002다46256 등 판례 취지 원용).
3.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 효력 상실 후 말소청구권은 누가 행사할 수 있나요?
답변
채권자는 채무자가 권리행사를 하지 않을 경우 채권자대위권으로 말소등기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채무자인 소유자가 가등기 말소권을 행사하지 않을 때 조세채권자(국가)가 채권자대위권을 통해 말소청구 가능함을 인정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이 사건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 이전 가등기는 제척기간이 경과되었으므로 말소되어야 함

판결내용

주 문

1. 피고 정OO은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10. 19. 접수 제3****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2. 피고 김OO는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2, 3항 기재 각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7. 23. 접수 제2****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와 별지 목록 제4항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3. 11. 22. 접수 제3****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각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3. 소송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상세내용

청 구 취 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인정사실

가. 정OO는 2012. 10. 19. 피고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이하 ⁠‘제1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2012. 10. 15.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10. 19. 접수 제3****호)를 경료하였다.

나. 정OO는 2012. 7. 23. 정태성에게 별지 목록 제2, 3항 기재 각 부동산(이하 ⁠‘제2, 3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같은 일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7. 23. 접수 제2****호)를 경료하였고, 2013. 11. 22. 위 가등기에 관하여 2013. 11. 22.자 양도를 원인으로 하여 피고 김OO를 가등기권자로 하는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부기등기를 경료하였다.

다. 정OO는 2013. 11. 22. 피고 김OO에게 별지 목록 제4항 기재 부동산(이하 ⁠‘제4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같은 일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3. 11. 22. 접수 제3****호)를 경료하였다.

라. 정OO는 이 사건 소 제기일(2024. 4. 9.) 당시 제1 내지 4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시가는 합계 80,403,200원(= 제1 부동산 44,238,000원 + 제2 부동산 28,582,400원 + 제3 부동산 3,621,000원 + 제4 부동산 3,961,800원)이고, 아래 표 기재와 같이 합계 326,316,640원의 세금을 체납하고 있었다.

(단위: 원)

[인정근거] 피고 정OO: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피고 김OO: 자백간주(민사소송법 제150조 제3항)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피보전채권 및 보전의 필요성의 존재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소 제기 당시 원고는 정OO에 대하여 326,316,640원의 조세채권(이하 ⁠‘이 사건 조세채권’이라 한다)을 가지고 있고, 정OO는 적극재산이 80,403,200원인 반면에 소극재산이 326,316,640원으로 무자력 상태에 있었다.

나. 피대위권리의 존재

매매의 일방예약에서 예약자의 상대방이 매매예약 완결의 의사표시를 하여 매매의 효력을 생기게 하는 권리, 즉 매매예약의 완결권은 일종의 형성권으로서 당사자 사이에 그 행사기간을 약정한 때에는 그 기간 내에, 그러한 약정이 없는 때에는 그 예약이 성립한 때로부터 10년 내에 이를 행사하여야 하고, 그 기간을 지난 때에는 예약 완결권은 제척기간의 경과로 인하여 소멸하며(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다26425 판결 참조), 부동산의 매매예약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보전을 위한 가등기가 경료된 경우에 그 매매예약완결권이 소멸하였다면 그 가등기 또한 효력을 상실하여 말소

되어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9다4787 판결 참조).

피고 정OO의 제1 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1 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2. 10. 15.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2. 10. 15.이 경과함으로써, 피고 김OO의 제 2, 3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2, 3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2. 7. 23.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2. 7. 23.이 경과함으로써, 제4 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4 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3. 11. 22.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3. 11. 22.이 경과함으로써 각 제척기간의 경과로 소멸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제1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도 효력을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정OO는 피고 정OO에 대하여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가지고, 피고 김OO에 대하여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가진다.

다. 정OO의 권리 불행사 및 원고의 대위권 행사

앞서 본 바와 같이 제1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무효의 가등기임에도 정OO는 피고들에게 위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고 있으므로, 원고는 이 사건 조세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정OO를 대위하여 피고 정OO에게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고, 피고 김OO에게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라. 소결론

원고의 채권자대위권 행사에 따라 피고 정OO은 정OO에게 제1 부동산에 설정된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고, 피고 김OO는 정OO에게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

3. 피고 정OO의 주장에 관한 판단

피고 정OO은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피고 정OO의 정OO에 대한 대여금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가등기이므로 제척기간 경과로 그 효력이 소멸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가등기가 담보가등기인지 여부는 그 등기부상 표시나 등기시에 주고 받은 서류의 종류에 의하여 형식적으로 결정될 것이 아니고 거래의 실질과 당사자의 의사해석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고(대법원 1992. 2. 11. 선고 91다36932 판결 등 참조), 가등기는 소유권등의 이전, 변경, 소멸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해 마치는 것이고(부동산등기법 제88조), 등기의 추정력은 등기원인에도 미치는 것이므로(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다46256 판결 등 참조),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담보가등기라고 주장하는 경우 그러한 점에 대해서는 이를 주장하는 자에게 입증책임이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예금계좌에 금전을 이체하는 등으로 송금하는 경우 그 송금은 소비대차, 증여, 변제 등 다양한 법적 원인에 기하여 행하여질 수 있는 것이므로, 그러한 송금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소비대차에 관한 당사자의 의사합치가 있었다고 쉽사리단정할 수 없다(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2다30861 판결 참조).

앞서 든 증거들에 을가 제1, 2호증의 각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피고 정OO과 정OO 사이에 차용증 등 대여사실을 뒷받 침할 만한 서류가 작성되지 않고, 또한 양자 사이에 변제기한이나 이자 지급 여부 등에 관한 약정도 없는 점, ② 피고 정OO은 2024. 6. 6.자 답변서에서는 정OO에게 50,000,000원을 대여하였다고 주장하다가 2024. 9. 10.자 준비서면에서는 정OO에게 2010. 11. 15. 30,000,000원, 2010. 12. 8. 40,000,000원, 2010. 12. 30. 25,000,000원 합계 95,000,000원을 대여하였다고 주장하는 등 그 주장에 일관성이 없는 점, ③ 또한 피고 정OO은 정OO에게 2010. 11. 15. 30,000,000원, 2010. 12. 8. 40,000,000원, 2010.12. 30. 25,000,000원 합계 95,000,000원을 대여하였고, 2020. 10. 17. 10,000,000원을 변제받았다고 최종적으로 주장하나, 피고 정OO의 2010. 12. 30. 당시 통장잔고가 마이너스 855,951,415원에 달하는 점에 비추어 피고 정OO이 그 당시 정OO에게 금원을 대여할 자력이 있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고 정OO의 대여일부터 10년 정도 지난 후에 비로소 일부 변제가 이루어졌다는 점도 이례적이어서 피고 정OO의 위 주장은 신빙성이 의심스러운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 정OO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제1 부동산에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설정될 당시 피고 정OO이 정OO에 대하여 대여금채권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피고 정OO의 정OO에 대한 대여금 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가등기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피고 정OO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4.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청구는 모두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4. 11. 14. 선고 충주지원 2024가단22392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소유권 이전 가등기의 제척기간 경과 시 말소청구 가능 여부 판단

충주지원 2024가단22392
판결 요약
이 판결은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완결권 행사 제척기간(10년)이 경과하면 무효가 되며, 이에 근거해 채권자는 채권자대위권으로 말소등기청구가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담보가등기 주장에 대해서도 실질 판단과 입증책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소유권이전가등기 #제척기간 #10년 #매매예약 #담보가등기
질의 응답
1.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10년 제척기간 경과 후에도 유효한가요?
답변
매매예약의 완결권 행사 제척기간(10년)이 지나면 가등기의 효력도 소멸하여, 이후에는 말소대상이 됩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매매예약 성립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완결권이 소멸하고, 그에 기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도 말소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대법원 2000다26425, 2009다4787 판례 취지 원용).
2.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담보가등기 주장만으로 효력이 남아있을 수 있나요?
답변
담보가등기 주장자는 실질적 담보 목적/대여사실 등을 명확히 입증해야 하며, 단순 주장만으로는 잔존 효력을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담보가등기 여부는 거래 실질 및 입증에 달려 있으며, 본건은 입증 부족으로 담보가등기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대법원 91다36932, 2002다46256 등 판례 취지 원용).
3.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 효력 상실 후 말소청구권은 누가 행사할 수 있나요?
답변
채권자는 채무자가 권리행사를 하지 않을 경우 채권자대위권으로 말소등기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근거
충주지원-2024-가단-22392 판결은 채무자인 소유자가 가등기 말소권을 행사하지 않을 때 조세채권자(국가)가 채권자대위권을 통해 말소청구 가능함을 인정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이 사건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 이전 가등기는 제척기간이 경과되었으므로 말소되어야 함

판결내용

주 문

1. 피고 정OO은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10. 19. 접수 제3****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2. 피고 김OO는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2, 3항 기재 각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7. 23. 접수 제2****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와 별지 목록 제4항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3. 11. 22. 접수 제3****호로 마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각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
3. 소송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상세내용

청 구 취 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인정사실

가. 정OO는 2012. 10. 19. 피고 정OO에게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이하 ⁠‘제1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2012. 10. 15.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10. 19. 접수 제3****호)를 경료하였다.

나. 정OO는 2012. 7. 23. 정태성에게 별지 목록 제2, 3항 기재 각 부동산(이하 ⁠‘제2, 3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같은 일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2. 7. 23. 접수 제2****호)를 경료하였고, 2013. 11. 22. 위 가등기에 관하여 2013. 11. 22.자 양도를 원인으로 하여 피고 김OO를 가등기권자로 하는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부기등기를 경료하였다.

다. 정OO는 2013. 11. 22. 피고 김OO에게 별지 목록 제4항 기재 부동산(이하 ⁠‘제4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같은 일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청주지방법원 음성등기소 2013. 11. 22. 접수 제3****호)를 경료하였다.

라. 정OO는 이 사건 소 제기일(2024. 4. 9.) 당시 제1 내지 4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시가는 합계 80,403,200원(= 제1 부동산 44,238,000원 + 제2 부동산 28,582,400원 + 제3 부동산 3,621,000원 + 제4 부동산 3,961,800원)이고, 아래 표 기재와 같이 합계 326,316,640원의 세금을 체납하고 있었다.

(단위: 원)

[인정근거] 피고 정OO: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피고 김OO: 자백간주(민사소송법 제150조 제3항)

2.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피보전채권 및 보전의 필요성의 존재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소 제기 당시 원고는 정OO에 대하여 326,316,640원의 조세채권(이하 ⁠‘이 사건 조세채권’이라 한다)을 가지고 있고, 정OO는 적극재산이 80,403,200원인 반면에 소극재산이 326,316,640원으로 무자력 상태에 있었다.

나. 피대위권리의 존재

매매의 일방예약에서 예약자의 상대방이 매매예약 완결의 의사표시를 하여 매매의 효력을 생기게 하는 권리, 즉 매매예약의 완결권은 일종의 형성권으로서 당사자 사이에 그 행사기간을 약정한 때에는 그 기간 내에, 그러한 약정이 없는 때에는 그 예약이 성립한 때로부터 10년 내에 이를 행사하여야 하고, 그 기간을 지난 때에는 예약 완결권은 제척기간의 경과로 인하여 소멸하며(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다26425 판결 참조), 부동산의 매매예약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보전을 위한 가등기가 경료된 경우에 그 매매예약완결권이 소멸하였다면 그 가등기 또한 효력을 상실하여 말소

되어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9다4787 판결 참조).

피고 정OO의 제1 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1 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2. 10. 15.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2. 10. 15.이 경과함으로써, 피고 김OO의 제 2, 3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2, 3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2. 7. 23.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2. 7. 23.이 경과함으로써, 제4 부동산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은 제4 부동산의 매매예약일인 2013. 11. 22.부터 10년이 되는 날인 2023. 11. 22.이 경과함으로써 각 제척기간의 경과로 소멸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제1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도 효력을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정OO는 피고 정OO에 대하여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가지고, 피고 김OO에 대하여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가진다.

다. 정OO의 권리 불행사 및 원고의 대위권 행사

앞서 본 바와 같이 제1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무효의 가등기임에도 정OO는 피고들에게 위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고 있으므로, 원고는 이 사건 조세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정OO를 대위하여 피고 정OO에게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고, 피고 김OO에게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라. 소결론

원고의 채권자대위권 행사에 따라 피고 정OO은 정OO에게 제1 부동산에 설정된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고, 피고 김OO는 정OO에게 제2 내지 4 부동산에 설정된 각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

3. 피고 정OO의 주장에 관한 판단

피고 정OO은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는 피고 정OO의 정OO에 대한 대여금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가등기이므로 제척기간 경과로 그 효력이 소멸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가등기가 담보가등기인지 여부는 그 등기부상 표시나 등기시에 주고 받은 서류의 종류에 의하여 형식적으로 결정될 것이 아니고 거래의 실질과 당사자의 의사해석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고(대법원 1992. 2. 11. 선고 91다36932 판결 등 참조), 가등기는 소유권등의 이전, 변경, 소멸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해 마치는 것이고(부동산등기법 제88조), 등기의 추정력은 등기원인에도 미치는 것이므로(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다46256 판결 등 참조),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담보가등기라고 주장하는 경우 그러한 점에 대해서는 이를 주장하는 자에게 입증책임이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예금계좌에 금전을 이체하는 등으로 송금하는 경우 그 송금은 소비대차, 증여, 변제 등 다양한 법적 원인에 기하여 행하여질 수 있는 것이므로, 그러한 송금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소비대차에 관한 당사자의 의사합치가 있었다고 쉽사리단정할 수 없다(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2다30861 판결 참조).

앞서 든 증거들에 을가 제1, 2호증의 각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피고 정OO과 정OO 사이에 차용증 등 대여사실을 뒷받 침할 만한 서류가 작성되지 않고, 또한 양자 사이에 변제기한이나 이자 지급 여부 등에 관한 약정도 없는 점, ② 피고 정OO은 2024. 6. 6.자 답변서에서는 정OO에게 50,000,000원을 대여하였다고 주장하다가 2024. 9. 10.자 준비서면에서는 정OO에게 2010. 11. 15. 30,000,000원, 2010. 12. 8. 40,000,000원, 2010. 12. 30. 25,000,000원 합계 95,000,000원을 대여하였다고 주장하는 등 그 주장에 일관성이 없는 점, ③ 또한 피고 정OO은 정OO에게 2010. 11. 15. 30,000,000원, 2010. 12. 8. 40,000,000원, 2010.12. 30. 25,000,000원 합계 95,000,000원을 대여하였고, 2020. 10. 17. 10,000,000원을 변제받았다고 최종적으로 주장하나, 피고 정OO의 2010. 12. 30. 당시 통장잔고가 마이너스 855,951,415원에 달하는 점에 비추어 피고 정OO이 그 당시 정OO에게 금원을 대여할 자력이 있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고 정OO의 대여일부터 10년 정도 지난 후에 비로소 일부 변제가 이루어졌다는 점도 이례적이어서 피고 정OO의 위 주장은 신빙성이 의심스러운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 정OO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제1 부동산에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설정될 당시 피고 정OO이 정OO에 대하여 대여금채권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제1 부동산에 설정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가 피고 정OO의 정OO에 대한 대여금 채권을 담보하기 위한 담보가등기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피고 정OO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4.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청구는 모두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4. 11. 14. 선고 충주지원 2024가단22392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