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분할협의가 사해행위인지 판단 기준과 특별수익 적용
대전고등법원(청주)-2021-나-51366
요약
채무초과 상태의 상속인이 상속재산분할협의로 상속분을 포기해 채권자 공동담보가 줄어든 경우, 이는 원칙적으로 사해행위에 해당합니다.
#상속재산분할협의
#사해행위
#채무초과
소득금액 환원시 납세의무 영향 여부 및 과세처분 유효성
서울고등법원-2022-누-39323
요약
소득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후에 회사에 환원했더라도 이미 발생한 납세의무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을 판시했습니다.
#종합소득세
#소득환원
#납세의무
채무회사의 보험계약 명의변경과 사해행위 취소 요건
울산지방법원-2021-가단-124378
요약
채무초과 상태에서 회사가 보유하던 보험계약의 명의(계약자.수익자)를 제3자 명의로 변경한 행위가 채권자의 공동담보를 감소시켰고, 그 대가로 받은 돈이 회사의 경영상 계속성 보장에 사용되지 않아 사해행위에 해당함을 인정, 피고에게 해지환급금 상당액 반환을 명함.
#보험계약 명의변경
#사해행위 취소
#채권자취소권
압류채권자 앞 변제효력·피압류채권 범위 판단
서울고등법원(인천)-2021-나-10782
요약
제3채무자가 압류통지 후 체납법인에 송금한 업무수임비는 압류처분의 피압류채권에 해당하며, 제2채무자가 이를 체납법인에 변제하더라도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습니다.
#피압류채권
#압류통지
#제3채무자
공탁금출급청구권 압류해제 불충분시 권리확인 청구 가능 여부
서울중앙지방법원-2021-가합-547151
요약
공탁금출급청구권에 대한 압류가 일부만 해제되어 불안.위험이 남아 있는 경우, 권리자가 권리 확인 청구의 이익을 인정받았습니다.
#공탁금출급청구권
#압류 일부 해제
#권리확인소송
채권압류통지서의 피압류채권 특정 필요성과 무효 주장 기준
수원고등법원-2021-나-10308
요약
국세 체납 압류의 경우, 채권압류통지서에 기재된 문언과 당사자 관계.채권 성격 등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피압류채권이 특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면 채권압류는 유효합니다.
#채권압류통지서
#피압류채권 특정
#국세체납 압류
부동산 무상사용 증여세 부과 적법 여부 판단 기준
서울고등법원-2021-누-69006
요약
특수관계인 소유 부동산을 무상으로 사용할 경우, 동거 사실이 경험칙상 인정되지 않으면 증여세 과세가 적법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증여세
#무상사용
#부동산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선의의 수익자 인정 기준과 기각 사유
서울남부지방법원-2021-가단-287830
요약
채무초과자가 가족에게 부동산을 양도한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매수인이 가족임에도 채무상황인지 및 비정상거래 여부를 몰랐다면 선의의 수익자로 분류되어 취소 청구가 기각될 수 있음을 판시했습니다.
#사해행위
#선의의 수익자
#부동산 매매
상속재산분할협의의 사해행위 여부와 수익자의 선의 인정 기준
의정부지방법원-2022-가단-102673
요약
채무초과 상태 상속인의 상속분 포기로 인한 상속재산분할협의는 사해행위로 인정되며, 수익자인 상대방이 선의임을 증명하지 못한 경우 원상회복 의무가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협의
#사해행위
#채무초과
차용금 변제 후 근저당권 말소청구 인정 기준
서울중앙지방법원-2021-가단-5098831
요약
원고가 피고 bbb에게 빌린 차용금을 전액 변제한 사실이 인정되어, 피고 bbb는 근저당권설정등기 말소 의무를, 피고 대한민국(압류권자)은 말소등기 승낙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근저당권
#근저당 말소
#차용금 변제